[필기] 2018년 09년 데이터베이스 41 - 60
41. 다음 중 테이블의 '디자인 보기'에서 필드마다 <한/영>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데이터 입력 시의 한글이나 영문 입력 상태를 정할 수 있는 필드 속성은?
① 캡션 ② 문장 입력 시스템 모드 ③ IME 모드 ④ 스마트 태그
<문제 해설>
-IME 모드는 '디자인 보기'에서 필드마다 <한/영>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데이터 입력 시의 한글이나 영문 입력 상태를 정할 수 있는 필드 속성임.
필드이름을 한글 영어로 설정해둔다.

필드속성에서 IME 모드를 한글로 설정하고 값을 입력하면 한영키 변경하지 않아도 언어가 세팅되어 들어간다.
51. 다음 중 보고서의 각 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고서 바닥글 영역에는 로고, 보고서 제목, 날짜 등을 삽입하며, 보고서의 모든 페이지에 출력된다.
② 페이지 머리글 영역에는 열 제목 등을 삽입하며, 모든 페이지의 맨 위에 출력된다.
③ 그룹 머리글/바닥글 영역에는 일반적으로 그룹별 이름, 요약 정보 등을 삽입한다.
④ 본문 영역은 실제 데이터가 레코드 단위로 반복 출력되는 부분이다.
<문제 해설>
보고서 머리글 영역에는 로고, 보고서 제목, 작성날짜 등을 요약하는 표시 구역으로 보고서의 첫 페이지 상단에 한 번만 출력되고,
보고서 바닥글은 보고서 내용의 총합계, 총평균 총갯수 등을 요약하는 구역으로, 보고서의 마지막 페이지에 한 번만 출력됩니다.
54. 다음 중 SELECT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FROM 절에는 SELECT 문에 나열된 필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이나 쿼리를 지정한다.
② 검색 결과에 중복되는 레코드를 없애기 위해서는 'DISTINCT' 조건자를 사용한다.
③ AS 문은 필드 이름이나 테이블 이름에 별명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④ GROUP BY 문으로 레코드를 결합한 후에 WHERE 절을 사용하면 그룹화된 레코드 중 WHERE 절의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레코드가 표시된다.
<문제 해설>
Group By문으로 그룹을 지정한 다음, 그룹 조건은 Having절이 와야 합니다..(Having은 그룹조건절을 의미합니다.)
그룹(GROUP BY절) - 특정 필드를 기준으로 데이터들을 그룹화하여 검색할 때 사용한다.
SELECT 필드명 FROM 테이블명 GROUP BY 필드명 HAVING 그룹조건;
정렬(ORDER BY절) - 특정 필드를 기준으로 정렬을 해서 결과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SELECT 필드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ORDER BY 필드명 ASC/DESC;
56. 다음 중 [학생] 테이블에서 '학년' 필드가 1인 레코드의 개수를 계산하고자 할 때의 수식으로 옳은 것은? 단, [학생] 테이블의 기본 키는 '학번' 필드이다.
① =DLookup("*","학생","학년=1") ② =DLookup(*,학생,학년=1)
③ =DCount(학번,학생,학년=1) ④ =DCount("*","학생","학년=1")
<문제 해설>
=DLOOKUP("필드","도메인(테이블/쿼리)","조건")
DCOUNT(인수,도메인,조건)
도메인에서 조건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인수의 개수를 계산함.
DLOOKUP(인수,도메인,조건)
도메인에서 조건에 맞는 인수를 표시함
-도메인 함수에서 사용되는 각 인수는 각각을 큰 따옴표로 묶어줘야하며, 문자열을 연결할 떄는 &를 사용한다.
57. 다음 중 아래 SQL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SELECT T1.품번, T2.제조사 FROM T1, T2 WHERE T2.소재지 IN('서울','수원') AND T1.품번 = T2.품번; |
① 테이블 T2에서 소재지가 서울 또는 수원 이거나 T1과 품번이 일치하는 레코드들만 선택된다.
② 테이블 T1과 T2의 품번이 일치하면서 소재지는 서울과 수원을 제외한 레코드들만 선택된다.
③ 테이블 T1의 품번 필드와 테이블 T2의 소재지 필드만 SQL 실행 결과로 표시된다.
④ 테이블 T1의 품번 필드와 테이블 T2의 제조사 필드만 SQL 실행 결과로 표시된다.
<문제 해설>
SELECT : T1품번 필드와 T2제조사 필드 검색
FROM : T1과 T2테이블에서 검색
WHERE : T2소재지가 서울 또는 수원이고 T1품번과 T2품번이 같은 레코드만을 대상으로 검색
[해설작성자 : 시험이 내일이다]
1. 테이블 T2에서 소재지가 서울 또는 수원 "이고" T1과 품번이 일치하는 레코드들만 선택
2. 테이블 T1과 T2의 품번이 일치하면서 소재지는 "서울이거나 수원인" 레코드들만 선택
3. 테이블 T1의 품번 필드와 테이블 T2의 "제조사" 필드만 SQL 실행 결과로 표시
59. 다음 중 폼의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팝업 속성을 설정하면 포커스를 다른 개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폼을 닫아야 한다.
② '레코드 잠금' 속성의 기본 값은 '잠그지 않음'이며, 이 경우 레코드 편집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다른 사용자가 레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③ 그림 맞춤 속성은 폼의 크기가 이미지의 원래 크기와 다른 경우 다양한 확대/축소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④ 레코드 집합 종류 속성의 값이 '다이너셋'인 경우 원본 테이블의 업데이트는 안되며, 조회만 가능하다.
<문제 해설>
레코드잠금 : 2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레코드를 편집하려고 할 때 레코드를 잠그는 방법을 설정
모달: 폼을 모달폼으로 열 것인지의 여부를 지정/ 예 를 선택하면 해당 폼이 열려 있을 경우 다른 화면을 선택할 수 없다.
4. 레코드 집합 종류 속성
1) 다이너셋: 원본 테이블의 수정, 편집 가능
2) 스냅숏: 수정, 편집 불가능, 조회만 가능
1. [팝업] 속성을 '예'로 선택하면 해당 폼을 열 때 새 창에서 열리며, 액세스 내에서 가장 위에 표시됩니다 (항상 위에 표시).
다만, [모달]과 다르게 포커스를 다른 개체로 옮길 수 있습니다.
3. 폼의 크기가 이미지의 원래 크기와 다른 경우 다양한 확대/축소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건 [크기 조절 모드] 속성으로, '원래 크기로', '전체 크기 확대/축소', '한 방향 확대/축소'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림 맞춤] 속성은 이미지를 폼의 어느 위치에 놓을 것인지 선택하는 속성으로 '왼쪽 위', '오른쪽 위', '가운데', '왼쪽 아래', '오른쪽 아래', '폼의 가운데'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60. 다음 중 폼에서 컨트롤의 탭 순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마법사 또는 레이아웃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폼을 만든 경우 컨트롤이 폼에 표시되는 순서(위쪽에서 아래쪽 및 왼쪽에서 오른쪽)와 같은 순서로 탭 순서가 설정된다.
② 기본적으로는 컨트롤을 작성한 순서대로 탭 순서가 설정되며, 레이블에는 설정할 수 없다.
③ [탭 순서] 대화상자를 이용하면 컨트롤의 탭 순서를 컨트롤 이름 행을 드래그해서 조정할 수 있다.
④ 탭 순서에서 컨트롤을 제거하려면 컨트롤의 탭 정지 속성을 '예'로 설정한다.
<문제 해설>
탭 정지 속성은 탭을 이용하여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지정하는 것으로, 컨트롤을 제거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탭 정지 속성을 '예'로 설정하면 탭 순서에 컨트롤이 추가되어 탭을 이용하여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4번의 설명은 이전 해설처럼 컨트롤을 제거하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니라 탭 순서에서 컨트롤을 제거하는 것을 말함으로 탭 정지 속성을 '아니오'로 설정해야 한다.
탭 순서에서 컨트롤을 제거하려면 해당 컨트롤의 속성의 '기타' 탭에서 탭 정지를 '아니요'로 설정해야 합니다.